Your Partner Professional Labor Office!

노무법인 이산은 최고 수준의 노무사들이 전문성있는 체계적인 서비스를 고객 여러분께 제공합니다.

건설일용근로자

일용직근로자의 정의

법령 정의규정
근로기준법 정의규정 없음
고용보험법 1개월 미만 동안 고용되는 자 (제2조 제6호)
산재보험법 1일단위로 고용되거나 근로일에 따라 일당형식의 임금을 받는 근로자.
다만 일용근로자가 근로관계가 3개월 이상 계속되거나, 그 근로자 및 같은 사업에서 같은 직종에 종사하는
다른 일용근로자의 근로조건, 근로계약형식, 구체적 고용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근로형태가 상용근로자와
비슷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일용근로자로 보지 아니한다. (시행령 제23조)
건강보험법 고용기간이 1개월 미만인 자 (제6조 제2항 제1호)
대법원 판례 그때 그때의 필요에 의해 사용하는 근로자 (대판, 1987.4.14. 87도153)
행정해석 근로계약을 1일 단위로 체결하고 그날의 근로종료로써 근로계약도 종료하여 계속 근로관계가 유지되지 않는 자
(근기 68201-1, 2000.1.3.)
소득세법 근로를 제공한 날 또는 시간에 따라 근로대가를 계산하거나 근로를 제공한 날 또는 시간의 근로성과에 따라
급여를 계산하여 받는 사람으로서 동일한 고용주에게 3개월 (건설공사는 1년) 이상 계속 고용되어 있지 아니한 자
(시행령 제20조 제1항)

단시간근로자의 정의

  • 단시간근로자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그 사업장에서 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동안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
    짧은 근로자를 말합니다. (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8호)
  • 초단시간근로자(실무상 명칭)란 4주 동안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(근로기준법 제18조 제3항)를 말하는데,
    일반적으로 4대보험 실무에서의 단시간근로자는 “월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초단시간근로자”를 의미합니다.

[ 일용직근로자와 단시간근로자의 구분 ]

(1) 한달동안 3일(1일 8시간)을 근무했다면 월 60시간 미만에 해당되어 고용보험 적용제외 대상이 된다고 오해할 수 있으나,
1일 근무시간이 1일 법정근로시간인 8시간에 해당하므로 통상근로자에 비해 소정근로시간이 짧다고 할 수 없으므로 단시간근로자로 볼 수 없습니다.
(즉, 일용직 근로내역확인신고의 대상이 됩니다.)

(2) 또한 일용직근로자는 한달동안 1일만 근무하더라도 고용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는 반면, 단시간근로자는 한달동안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이라면
고용보험료를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. (고용보험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단서)

※ 4대보험 관계법령에서는 (정규직·비정규직의 구분 없이) 근로형태에 따라 상용직근로자와 일용직근로자로 구분하고 있는 바,
단시간근로자는 “상용직근로자”에 해당한다는 점이 구분의 핵심입니다.